2010년 1월 26일 화요일

최적의 아이템 세팅에 대하여

최적의 아이템 세팅에 대하여  
 

 

징벌기사의 딜링에 관해 조언을 해주는 글을 읽다 보면 꽤 자주 듣는 말 중에 하나가 밸런스 잡혀있다라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보면, 전투력 3000 크리 44%, 전투력 3500 크리 40% 이 두 개의 세팅중에 어떤게 더 밸런스가 맞아 보이냐고 물으면 아마 후자라고 많이 생각하실 거에요 


제가 볼 때, 어떤 근거가 있는게 아니라 그냥 40%라는 숫자가 43%라는 숫자보다 안정적이고 괜찮아 보여서 그런 것 같습니다


 


또 전투력 몇 이상이어야 치타세팅으로 넘어갈 수 있을까요? 라는 질문도 참 많이 봅니다 


이런 질문에서 가장 자주 보는 대답이, ‘전투력 5000 넘기면 치타세팅으로 넘어가세요.인데, 이 또한 근거 없는 말인 건 마찬가지 입니다..

아마 티어8 파밍 시점이 전투력 5000정도였고, 티어9-2셋 효과로 치명타의 효율이 좀 더 좋아지면서 치명셋이 유행하기 시작하면서 그런 말이 나온 게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일단 제 생각부터 부터 말씀드리고 시작하자면 


 


전투력과 치명타 사이의 밸런스를 맞추는 마법의 수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단 아래 그래프를 보시죠. 힘과 대비한 다른 능력치들의 그래프입니다.


 


(*그래프 참조, elitistjerks.comspreadsheet)


 




 


 


보시면 알겠지만 대부분이 일정수치가 상승하면 일정비율이 올라가는, 정직한 그래프들입니다

적중을 보면 물리만적중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미약하게 상승하다가 대충 마법만적중이 달성되는 시점부터 상승을 멈춥니다. 숙련은 만숙련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0에서 시작해서 0 으로 끝납니다.

여기서 크리티컬 같은 경우는 크리캡에 걸리는 시점에서 그래프가 꺽일테고, 방어구 관통같은 경우도 만방관을 지나는 시점부터 꺾이겠죠.


이런 식으로, 특별한 변수가 없는 이상은 일정 비율대로 상승하게 됩니다.


, 민첩, 적중, 등등 우리가 알고 있는 스탯은 어차피 아이템 레벨에 따라 비율대로 배분되어 나오기 때문에, 상승 수치는 거의 비슷비슷 합니다.


 

좀 더 자세히 보면,

 



 

 

 

유독 그래프가 특이한 녀석이 하나 있죠. 연보라색 색을 띄고 있는  가속 입니다. 뭐 거의 천방지축의 모습을 보이는데, 이로 알 수 있는 건,

 


힘과 가속의 밸런스가 맞는 세팅은 존재하지만, 그걸 맞출 필요 (거의) 없어 보입니다.’


 


 


 


그래서 제가 세운 아이템 세팅의 우선순위는


 


1. 아이템 레벨


2. 버리는 스탯 최소 (적중, 숙련 등등 한계점을 넘어가는 수치)


3. 방관이 적은 템 (가장 효율이 적으므로)


4. (Str) (민첩보다 효율이 높으므로)


 


입니다. 제가 가죽사슬민첩템으로 세팅하는 이유는, 첫 번째로 1번과 2번에서 그 이유가 있고, 3번을 지나, 4번까지 도달하면 힘템을 찹니다. 무조건 가죽사슬만 입는게 아니에요...;


 


 


그럼 지금 BIS , 각 부위의 최고의 아이템 세팅은 무얼까요?


 


위에 우선순위에 맞춰보면


 


1. 모든 슬롯이 264템으로 구성되고


2. 적중 8%, 숙련 16 (문양포함 만숙)을 넘기지 않고


3. 방관이 0이면서


4. 가능한 많은 템이 힘템 .


 


이면 가장 딜이 잘 나오는 세팅이 됩니다.


 


위의 조건만 맞는다면 Rawr로 돌리셔도 되고, ICC로 만들어 보셔도 됩니다.


 


 


아참....


 


지난 번에 너무 살살 이야기 했더니 임팩트가 없는 것 같아서... 장신구 쪽에 사족으로 하나 달자면,

 

 

 



 


 


 


단지 안에 담긴 누더기 골렘상급 죽선보다 263Dps 가 더 높다는 계산입니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오는지는 지금은 파악이 100% 안되어 설명드리기 어렵고, 믿을만한 결과인지도 반신반의 합니다만, Rawr에서도 그렇고 위의 elitistjerks.com의 엑셀시트에서도 그렇고, 어쨌든 시뮬상으로는 최고의 장신구입니다.


 


그러니까 이건 제가 먹고 실험해보고 말씀드릴테니, 세나섭 얼라 기사님들 자비좀...?! .>.< (굳이 성게에 이걸 쓰고 있는 저는 바보 인증 중...싸게 먹고 이야기 해도 되잖아...)


 


흠흠 여튼 .....골렘 장신구 쓰실 분들은 최종세팅에서 골렘에 붙은 적중 85 추가로 감안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서 말씀드립니다


 


 



 


 




2010년 1월 19일 화요일

Procodile 사용법

 Procodile 사용법

 

 

 

Procodile은 주문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바 형식으로 알 수 있는 애드온 입니다.

 



 

 

 

세부 설정은 인터페이스 -> 애드온 쪽에서 가능합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바 항목은 표시 쪽에 체크 해 주시면 되고, 옆 칸의 오오라 바는 쓸모가 없으므로 꺼두셔도 됩니다.

 



 

 

 

주문을 새로 등록하시려면 아래 그림 처럼 '주문 디버그'에 체크를 해주시고

 



 


 

 채팅창을 보시면 주문 ID가 괄호 안에 다섯자리 숫자로 표시되어 나옵니다.

 



 

 

 

그런 후에 사용자 주문 쪽에 가셔서 각 주문 ID를 집어넣고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주문에서 원하는 버프를 선택하시고 발동 횟수 알림쪽에 소리재생을 지정해 주시면 디버프가 발동이 되면 소리로 알려줍니다.

 

(제 동영상을 잘 '들으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죽선이 발동되었을 때 '지~잉' 하는 낮은 소리가 이 옵션으로 나는 소리입니다)

 

 

 

 

 

이 애드온의 응용 사용법은 아래 글을 참조하세요.

 


2010년 1월 18일 월요일

1

디피 상승의 비결 < 장신구 스왑 >

디피 상승의 비결 < 전투 시간 조절과 장신구 스왑 >











저는 더 높은 DPS를 내기 위해 생각을 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합니다.

그리고는 그 생각이 정리가 되면 현실화를 시키기 위해 분석을 하거나 그에 맞는 애드온을 찾는 등, 쉽게 쓸 수 있는게 있을 지 찾아봅니다.

그러다 보니 여러가지 노하우가 쌓이게 되고, 그 중에 Rawr사용이나 애드온사용 등등, 일반 유저들에게 쉽게 적용될 수 있는 노하우들을 차례로공개를 해왔는데, 오늘은 타겟을 바꿔서, 정말 디피 10을 올리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는 상급 유저들을 위해 노하우 공개를 하려고 합니다.

이 항목 자체가 '상급' 노하우라기 보다는, DPS 상승에 엄청난 욕심이 없는 유저라면 ' 게임 하는데 뭘 그렇게 까지 하냐...' 란 말이 나올 정도로 집요해 지니까요.



여러분은 혹시 자신이 공속이 어느정도 되는지 알고 있나요? 무기의 공속과 장비의 가속도에 따라 다 달라지겠지만 저는 브린트롤을 들고 있어서 3.04초 입니다.

그런데 레이드시 풀버프시에는 공속이 어느정도 되는지 아시는분은 아마 드물겁니다.

왜 이런 말을 하냐면, 복문 5중첩 시간이 과연 얼마나 걸리는지를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Rawr에서 블러드를 끄고 나오는 공속인 2.52 초를 신뢰합니다.

그럼, 저의 경우 2.52 * 5 = 12.6 초 의 계산으로 복문 5중첩까지 12.6초 겠네요.

여기서 제 손에 발라져 있는 번개가속기 효과 때문에 대충 12초라고 생각하고 다닙니다.

뭐 이런 식으로 자신의 레이드 풀버프시의 대략적인 복문5중첩 시간은 알아 두셔야 합니다.
(*전투 시작 전 속도의 물약을 먹고 들어가는 경우는 일단 배제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다음 이야기로 넘어가서,
보스별로 응징의 격노를 몇 번 켤 수 있는 지는 전투시간 분석으로 알 수 있습니다. 응징의 격노가 2분 쿨이니까요.
대부분 2회이고, 특별한 경우 1회 또는 3,4회가 되는 네임드도 있죠.
그리고 굳이 계산식으로 계산을 하지 않아도 '발동효과'류 버프들이 되도록 많이 발동 되었을 때 응징의 격노를 켜는 것이 좋습니다.





또 다음 이야기로 넘어가서,

장신구 두 칸 중에 발동효과류 장신구가 한쪽씩은 거의 대부분 있으실 겁니다. 죽선, 다크문, 송곳니 등등 45초의 내부쿨을 가진 장신구들 말이에요.

이걸 윗 칸에서 아랫 칸으로 바꿔만 주어도 내부쿨 45초가 돌아가서 45초 뒤에 발동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도 아실겁니다.




마지막으로, 지난 번 '성서 비교' 글에도 올렸지만, 세가지 진리의 성서를 쓰는 분들이라면 5중첩 시간도 감안 해야겠죠.

세가지 진리의 성서 5중첩 시간은 (제 딜사이클로는) 28초 입니다. 이건 허수아비만 몇 대 때려보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자 이제 위에서 나열했던 것들을 실제로 적용을 시키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필요한 것들을 찾아보죠.


전투 시간은 WMO 전투기록에서 참조를 합니다.

장신구 내부 쿨은 Procodile 이란 애드온을 써서 첫 발동 후 내부쿨을 알 수 있습니다. (http://wow.curse.com/downloads/wow-addons/details/procodile.aspx)

Procodile로도 알 수 없는, 스왑 후 첫 발동 시간은 장신구 스왑과 동시에 /sw 명령어로 꺼내놓은 초시계를 켜서 45초를 잽니다. (*산수에 뛰어나신 분들은 초시계 만으로 procodile이 필요 없기도 합니다.)Procodile과 같은 애드온으로는 '첫 발동 후' 내부쿨 만을 잡아낼 수 있기 떄문이죠.

도저히 종 잡을 수 없는 광전사 발동 타이밍이나, 발동률이 낮아 실질적으로 언제 터질지 모르는 쟂빛 선고단 반지는 어쩔 수 없다 치고, 조절이 가능한 변수들을 조절해서 응징의 격노 타임을 조절해 보는 겁니다.



아래 전투기록은 제가 지난 주에 다녀온 사울팽 25인의 전투기록 입니다.

전투 시간은 대화 시작 타이밍이 0초, 실제 전투 시작 시간은 45초 입니다.


- 타임 테이블-


0 초 : 대화 후 이벤트 시작

30 초 : 장신구 스왑으로 글로벌 쿨타임 리셋과, /SW 명령어를 이용한 초시계 시작

44 초 : 속도의 물약 사용

45 초 : *******전투시작*******

54 초 : 복문 5중첩 (* 속도의 물약과 초반 블러드, 번개가속기 사용효과로 복문 중첩이 9초만에 됨)

1분 13초 : 서리성서 5중첩 ( 전투 시작시간인 45초로부터 28초의 5중첩 시간을 더해 1분 13초에 정확하게 5중첩 )

1분 15초 : 죽선 (1) 발동 ( 30초에 리셋한 장신구가 내부쿨 45초 후 발동, /SW초시계가 45초를 가르키고 있기 때문에 광전사나 반지버프가 발동중이라면 5초 전에 응징의 격노를, 발동 안하고 있다면 발동과 동시에 응징의 격노를 쓰도록 한다.)

1분 16초 : 죽선 (2) 발동, 응징의 격노

1분 18초 : 반지 전투력 발동 ( 이건 언제고 터져주면 감사함)

2분 1초 : 죽선 내부쿨 45초 종료

2분 2초 : 죽선(1),죽선(2) 발동

2분 46초 : 죽선 내부쿨 45초 종료

2분 47초 : 죽선(1) 죽선(2) 발동

2분 51초 : 반지 전투력 발동

3분 16초 : 응징의 격노 (-,.-) + 속도의 물약 < 실수>

3분 31초 : 죽선 내부쿨 45초 종료

3분 32초 : 죽선(1) 발동

3분 33초 : 죽선 (2) 발동

4분 16초 : 죽선 내부쿨 45초 종료

4분 18초 : 죽선 (1) 발동

4분 21초 : 죽선 (2) 발동

4분 30초 : 전투종료




위 테이블에서 두번째 응격은 실수로 잘못 쓴 겁니다. 원래 대로라면 3분 27초부터 주시를 하다가 3분 32초 죽선발동에 썼어야죠. 영상을 100%로 완벽하게 찍으려고 보니 긴장해서......(속도의 물약을 잠깐 망설이고 마시는게 보이죠 -_-)


아래는 앞의 중요 부분만을 편집한 동영상 입니다. 처음 해본거니 퀄리티는 이해해 주시고....





이제 위에 테이블이 무슨 말인지 좀 감이 오셨을 겁니다.





그럼 왜 저렇게 하면서 까지 전투시간을 조절하느냐? 그냥 네임드 잡기 직전에 장신구 스왑하는 것이랑 무엇이 다른지가 궁금하실 겁니다.

이건 뭐, 별 거 없습니다. 응징의 격노 시간을 최대한 당기기 위해서죠.









대충 만든 그래프라 보기 좀 힘드시겠지만, 이해는 쉬우실 겁니다.


x축 = 시간

y축 = DPS


(*Y축은 장신구 발동으로 보아도 되고, 응징의 격노로 보아도 됩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상승폭을 크게 했습니다)
위 그래프가 전투 시작 직전 장신구 스왑만 한 경우,
아래 그래프가 장신구 스왑을 미리 해서 장신구발동 및 응징의 격노 타이밍을 최대로 줄였을 때 라고 보시면 됩니다.
요지는, 최대한 앞으로 당겨서 발동을 시키는게 좋다는거죠. 응징의 격노야 2분쿨이라 드물겠지만, 45초 쿨의 장신구 발동 1번은 이정도 컨트롤로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제 아셨겠지만, 위의 타임 테이블은 제가 얼음왕관 을 인스하기 전, 이미 초단위로 짜여져 있는 플랜이었습니다.
전투가 종료되는 시점은 알지 못하지만, 시작하는 시점은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나 사울팽 같은 대화 시작 후 오프닝이 있는 보스들은 이런 플랜을 짜기가 수월해 집니다.


그럼 위 타임 테이블대로 짜여진게 완벽한 것이냐? 하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거의 완벽하게 '실행'은 했습니다만, 수정할 게 발견 되었기 때문입니다.

타임 테이블 마지막에 보시면 죽선이 발동되고 지속시간이 5초 정도의 시간이 남은 채로 전투가 끝나는데, 이 5초까지도 다 받아 먹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1분 16초에 발동시켰던 응징의 격노 타이밍을 (적어도) 5초 이상은 줄이는 방향으로 수정을 해야 '전투 계획' 이 발전적으로 수정되는 것입니다.


저는 그래서 성서 5중첩이 아닌 4중첩 발동에 맞추어 장신구 발동이 되게 끔 해서 다음주에 시도해 보려고 합니다.



그럼 저런 타임테이블은 '사울팽' 같은 오프닝이 있는 네임드에서만 가능하지 않느냐 라는 물음이 나올 수 있겠네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초단위는 힘들지만, 가능은 합니다.

그럼 같은 날 찍은 오프닝 이벤트가 없는 '썩은 얼굴' 과의 초반 전투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썩은 얼굴은 사울팽과는 다르게 디버프에 의해서 전투를 이탈해야하는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 시간에 장신구와 응징의 격노를 켜는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런 네임드들은 최소점인, 복문 5중첩 정도의 시간까지를 마지노선으로 삼아야 합니다.

그럼 대략 12초네요. (변수들을 뺴고)

(장신구내부쿨 45초) - 12초 = 33초

장신구를 스왑하고 30초 ~ 35초 내에 전투가 시작하면 됩니다.

여기서 부터는 뭐, 눈치껏 하는겁니다. 저는 막공유저라 공장님이 항상 달라지기 때문에 이런게 어렵지만, 계속 스왑하다가 얼마 후에 전투를 시작할 것 같다면 초시계를 시작합니다. 아니다 싶으면 다시 리셋...

아래 동영상에서는 보이듯이 30초 쯤에 첫 평타를 치므로 예상이 굉장히 잘 맞은 편이네요.










어떻게 읽으셨는지 모르겠지만, 이번 글이 지금껏 썼던 글 중에 가장 오래 준비 했네요. 거의 2주 걸린 것 같은데...;



문장력이 떨어져 사진을 자주 동원하는 편입니다만,이번 주제는 사진으로도 전달력이 떨어질 것 같아 동영상까지 손을 댓습니다. 제로기사님이 추천해준 프로그램 덕에 컴퓨터 부하를 많이 줄여서 녹화가 가능했는데, 예상대로 녹화와 게임이 동시에 원활하게 가능한 컴퓨터는 아니었습니다. ㅋ 아마 컴퓨터를 바꾸기 전까지는 다시 녹화할 일은 없을 것 같네요.





올린김에 사울팽 전 동영상 전체버전을 올려 봅니다. 녹화한답시고 너무 신경쓰다 보니 실수가 많아서 (요리도 안먹고 영약시간도 간당간당, 두번째 응격은 대체 왜 그 때 쓴건지 -ㅅ-) 고민되지만.....아마 여기서 무언가 더 찾으실 분도 계실겁니다.

이상한 점 있으면 댓글 남겨 주세요~!

test

2010년 1월 16일 토요일

성서 비교

세가지 성서 / 용기의 성서 비교

 

 

<듀란테 님의 제보로,  용기의 성서 발동률에 따른 DPS loss를 적용하여 실험결과가 1분 33초 에서 37초로 변하였습니다. 다시 읽어주세요~!! >

 

 


제가 근래 가장 많이 질문 받은 걸 생각해 보면 성서에 대한 이야기가 빠지질 않더군요. 

 

저를 찾아 오실 정도로 딜링에 목마른 분들이니, 아마 저의 WMO로그를 보고 나서 '세가지 진리의 성서' 효과인 '강력함' 이라는 버프를 발견 하셨을 테고, 사용을 왜 하는지에 대해 궁금하셨을 겁니다.

 

 

'좋긴 좋은데 별로 좋아보이진 않는다' 가 제가 느낀 반응이었고, 대충 보기에도 탁월하게 좋아 보이진 않습니다.

 

 

 

그럼, 정확하게 어디가 어떻게 좋은지를 알아보죠.

 

 

  

 

 

세가지 진리의 성서

 

- 성전사의 일격에 중첩되며, 중첩당 44씩 5중첩까지 가능

 

- 문장에 구애받지 않음

 

 

 

용기의 성서

 

- 발동과 동시에 200의 힘 효과를 봄

 

- 전투시간의 94~98%가 지속시간. 

 

 

 

 

이정도가 요약해본 성서의 특징입니다.

 

눈에 걸리는게 있죠? 네. 바로 세가지 성서의 5중첩 시간입니다.

 

한단계 아래인 용기의 성서가 중첩 없이 발동되서 거의 항상 유지되는 것이랑 비교가 많이 되죠.

 

 





< 그러니까 죽기는 3중첩이면 되는데, 왜 기사는 5중첩이냔 말입니다.......?>

 

 

 

그럼 계산을 해보죠!

 

 

두 성서 다 전투 중 지속시간이 98%에 육박하기 때문에 항시 발동으로 보는걸 기준으로 하고,

 

 

세가지 성서 : 5중첩 시간동안은 각각 44.88,132,176 의 공차가 발생하는 등차수열로 계산하고, 5중첩 후 부터는 220의 공차로 각 누적값을 합산해 간다.

 

 

용기의 성서 : (*듀란테님의 제보로 계산 내용 수정*)

 

첫 15초 간은 

'70% 확률로 3초만에 첫 발동 0.7,

21% 확률로 6초만에 첫 발동 0.3 * 0.7

6.3% 확률로 9초만에 첫 발동 0.3 * 0.3 * 0.7
1.89% 확률로 12초만에 첫 발동 0.3 * 0.3 * 0.3 *0.7'

의 확률을 기본으로 발동시 DPS기대값 194.6 을 곱하여 계산,

 

EX:) 12초간 194.6 힘 적용 받으므로 2335.2 * 0.7 = 1634.64

 

처럼 위 확률 공식에 194.6의 힘을 각각 대입하여 더한 뒤 15(초)로 나눈다.

 

이래서 나온 첫 15초 당 힘은 139.14가 공차가 되고, 15초 후에는 194.6의 공차를 가진 등차수열로 계산.



 

다음은 그 결과 입니다.

  



 
 

 

 

 

자 그럼 결과가 나왔죠?

 

37초 부터 두 성서의 디피값이 역전이 되네요.

 

 

 

그럼 37초를 정확한 기준으로 삼아도 될까요?

 

그건 아닙니다.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서 위 차트에는 첫 시작을 성전사의 일격으로 시작하고, 그 후에도 4초마다 성전사의 일격이 들어가게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가 1.5초의 글로벌 쿨타임이나 스킬간 쿨타임의 차이 때문에 4초마다 성전사의 일격을 눌러줄 수 없기 때문이죠.

 

 

 

RAWR에 보면 제스펙에서 5.63초 간격으로 성전사 일격을 딜사이클로 넣어놨네요.

 

5.63*5 = 28.15초

 

놀랍게도, 제가 초시계를 재고 심판 -> 성격 -> 천폭 -> 신성화 -> 퇴마 순의 사이클을 돌렸을 때 27~28초가 나옵니다. (*10-2세트효과 발동을 포함한 무난한 딜사이클)

 

그럼 위 차트에서는 17초가 5중첩이라고 봤으나, 저는 실제로 28초만에 5중첩을 시키니, 28-17=11

 

37초 + 11초 = 48초 

 

 

 

그럼, 이상적인 계산값 과 현실적인 5중첩 시간을 같이 넣어보면, 

 

전투시간이 (대략) 37초 ~ 48초가 넘어 가는 시점에서 세가지 진리의 성서가 용기의 성서보다 더 좋은 DPS 기대값을 가집니다.

 

 

저는 기억하기 쉽게 중간쯤인 40초로 기억하려구요.  
 

 

 

엑셀로 만든 김에 그래프로 보면

 

 






 

이런 식이 됩니다.

 

X항의 300초는 5분의 전투시간을 의미하니 5분동안 대략 저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걸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전투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차이는 더 벌어지겠죠.

 

 

저게 과연 얼마나 좋은건지 체감이 안오시는 분들을 위해 더 간단히 말씀드리면, 

 

37~48초(DPS 역전시점)가 넘어가는 시점에서 초당 25.4힘의 상승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220 - 194.6 = 25.4)

 

 

 

 

물론 위와 같은 계산은 북문일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세가지 성서로 2중첩 시키는 시점부터 지휘 광딜에는 압도적인 성서가 됩니다.

 

그래서 영던이나 얼음왕관 일반몹 구간 같은 곳에서는 가장 좋은 성서이기도 하죠. 

 

 

 

성서 빌려쓰다가 반납 못해서 전전긍긍 하시는 분들을 위해  이 글을 바칩니다.

 

(소화가 안되서 끄적이던 글을 4시까지 쓸 줄은 몰랐네요.....) < - 게다가 수정하려고 자다가 일어날 줄은 더더욱 몰랐습니다..

 

그런데 이번 글도 역시 제가 오히려 배우고 가네요 ㅎㅎ 글 수정에 도움을 주신 듀란테님 감사합니다~!

2010년 1월 8일 금요일

어둠의 칼날 도끼 / 브린트롤 비교

 어둠의 칼날 도끼 / 브린트롤 비교

 

 

 

 

 

 

어둠한 퀘스트를 진행하시면서 얻을 수 있는 '어둠의 칼날 도끼' 가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과연 이 무기가 지난 한 달 간 양손무기계의 본좌로 불리던 '브린트롤'을 위협할 수 있을지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지난 번에 소개해 드렸던 'bluedeep'은 브린트롤이 얼음왕관 무기중 가장 떨어지는 DPS를 가지게 되었다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 

 

 

 

일단 브린트롤부터 살펴보죠! 발동효과가 특이한 녀석이므로, 할 말도 많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1월 7일은 교수 퓨트리사이드가 취직한 날임과 동시에 브린트롤의 너프가 있었습니다.

 

블리자드에서는 버그수정이라 부르고, 우리는 너프라 부르는 이 버그수정이 무었이었느냐 부터 알아야 겠네요.

 

 

여러가지 발동류 방어구가 가진 발동조건 중에, 브린트롤은 우리가 말하는 '근접 데미지' 즉 ' % on melee hit' 혹은 '% on phsycal hit' 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기타 발동조건은 '피해를 입혔을 시', '해로운 주문 피해를 입혔을 시' 등등이 있습니다. 이는 RAWR의 itemedit 란에서 여러 조건을 보실 수 있습니다)

 

 

패치 이전에는 복문/타문의 문장데미지가 물리적중 판정을 받아 생명력 흡수가 발동이 되어 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정죽기/ 징벌기사와 전사와는 발동률 자체가 두배 이상 벌어졌고, 그 중에서도 징벌기사가 가장 이득을 많이 챙겼었습니다. (죽기 이야기는 잘 모르니 안하겠습니다.) 

 


 

그럼 중요한건, 지금은 언제 발동이 되느냐를 알아보는게 선행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아래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실험을 진행한 애드온은 전투 메세지를 쉽게 cacade란 애드온입니다. 와우 기본 전투메세지를 싫어하는 저에게 매우 도움이 되더군요)
 

 



 

 스샷을 보시면 알겠지만 성전사의 일격 + 복수의 문장이 발동 된 후 생명력 흡수가 발동했습니다. 생명력 흡수가 일단 데미지를 입히고 생명력 회복이 되는것도 보이네요. 

 

복수의 문장이 발동에 더이상 영향이 없기 때문에, 이 스샷으로 성전사의 일격은 생명력 흡수를 발동시킨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다음 스샷은 천폭입니다. 천상의 폭풍이 발동된 후 생명력 흡수가 시전되었네요. 이 스샷으로 천상의 폭풍이 생명력 흡수를 발동시킨다고 알 수 있겠습니다.

 

 




마지막 스샷은 혹시 위 스크린샷을 보충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평타 -> 천폭 -> 천폭 사이에 아무런 변수가 없었지만 생명력 흡수가 발동 되었습니다. 

 

 

해외 사이트에선 '정의의 복수' 에 발동된다고 하는 사람이 있어서 해봤는데, 그렇진 않습니다. 이 실험은 허수아비랑 5미터 정도 떨어져서 천폭만 쓰면 정복발동만 되는데,  단 한번도 생명력 흡수가 발동하지 않았습니다. (스샷은 분실했습니다..쓰읍; )

 

 

 

여기까지 알 수 있는 건, 브린트롤의 생명력 흡수 효과는 평타, 성격, 천폭 에 발동한다고 알 수 있겠네요. 즉 melee hit 에만 발동하는 것이 아니라 phsycial hit 에도 발동한다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알아낸 것들로 RAWR에서 어떻게 계산하는지를 살펴 보겠습니다.

 

(*일단 어둠의 칼날 도끼가 itemcache에 없기 때문에 itemedit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아이콘은 좀 다르지만, 어쨋든 제대로 생성된 어둠의 칼날도끼입니다. 최적화를 시켜놓고 보니 브린트롤보다 약간 높은 (17) DPS를 가지고 있다고 나오네요.


 

 

 

 

잠깐....이게 끝이 아니죠??

 

 

네... 힘들게 알아낸걸 이제 대입해 봐야죠. 이렇게 끝낼 거면 이런 글 쓰지도 않았습니다. ㅋ

 

(* 암흑 데미지를 2700으로 계산하는 과정이 있었으나, 알토리아님의 제보로 다시 생각해보니 시너지가 중복계산이 된 꼴이 이 되기 때문에 2250으로 계산하는게 맞다고 여겨져 해당 과정은 삭제합니다)  

 

 

 

그럼 여기서, 15% on melee hit 이 조건을 15% on Phsycal hit 으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브린트롤 + 힘 20*2 의 값이 2300, 어둠의 칼날 도끼 + 힘 20*2 의 값이 2247의 기대 DPS를 가지고 있다고 나옵니다. 53 dps 가 차이가 나네요.
 

 

53DPS 가 어느정도 체감차이인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스샷 하나를 첨부해 보면,

 

 



 

 

 

제가 끼고 있는 245렙짜리 다리 티어를 258렙으로 바꿧을 때의 DPS상승치가 dps 54 정도네요.


 

 

 

다시 말해,  브린트롤과 어둠의 칼날 도끼는 54의  DPS 차이를 보이므로, 버그 수정 후에도 브린트롤이 더 좋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미 어둠의 칼날도끼와 브린트롤을 같이 가지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네임드전에서 브린트롤로 스왑해서 사용하시길 권해 드리겠습니다. 뭐...어자피 적중,숙련 무기가 아니므로 방어구 세팅은 그대로 두셔도 될테니까요. ;

 

게다가 여기엔 %로 데미지가 증가하는 전투는 반영이 안되었으니, 그것도 감안을 하셔야 하구요.

 



( 예를 들어, 십자군 발키리 같은 전투에선 생명력 흡수가 더 높은 기대값을 가지게 됩니다.) 

 

 

 

 

 

P.S : 제가 쉐도우 엣지가 없어서 이런 실험결과 낸 게 아닙니다. (-_-;)

 

P.S 2 : 글 수정에 도움 주신 알토리아님 감사합니다. ^^ 

이번주 DPS 이야기

 이번 주 얼음왕관 DPS 이야기

 

 

1. 군주 매로우가르

 




 

 



 

 

개인적으로 싫어하는 네임드입니다. 왜냐하면 제가 날개만 폇다하면 뼈가시를 걸어버리기 때문이죠. 

 

10초밖에 안되지만 풀려서 내려오는 시간까지 하면 두번에 대략 15초? 정도 될 거 같네요.

 

이처럼 운빨이 매우 심한 네임드라 싫어합니다만, 징기 랭커 평균인 9,923에 훨~씬 못미쳐서 계속 점검중입니다... 

 

다음주 부터는 뼈 폭풍 뒤 딜중지를 탱커 믿고 안해봐야 겠네요. 토템 위치도 잘 확인하구요.

 

 

2. 데스스위퍼 

 

신봉자 딜  / DPS 의미 없어 패스

 

 

3. 비행포격선

 

패스 ;;

 

 

4. 사울팽 

 



 

 

사실 브린트롤 너프를 모르고 전투를 치르고 난 상태라, 상당히 의아했습니다. 지난 주에 264장비를 세개나 먹었는데 DPS가 줄었으니 기분이 좋을리가 없었죠.

 

아..그리고 여전히 진행중인 목표인, 쫄에게 안맞기는 또 실패했습니다.

 


 

 

응징의 격노를 야수 소환타이밍을 피해서 사용을 한다곤 했는데, 두번째 응격때 약간 겹쳐서 마지막 틱 신성화를 새로 생성된 쫄이 맞고 저를 봤네요. 하필 그 때 조드님의 태풍이 늦었다는것도... (왜 하필 그때 ㅜㅜ)

 

뭐... 남탓하는 것 보다 응징의 격노는 잘 씁시다.

 

 

5. 구린 속 

 



 

 

별 건 없습니다. 네..밀리는 진짜 별거 없어요.

 

마지막에 분명히 포자 근처에 있었는데 디버프가 안들어와서 신의 가호를 썼는데,  이게 응징의 격노 하나를 날려먹었네요. 사실 좀 갑자기 무너지는 분위기라 안전한게 더 중요했죠.

 

암튼 포자 생겼을 때 잘 받게 겹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어설프게 서면 디버프가 안들어오기도 하더라구요!

 

 



 

 

 

 

 

 

6. 썩은 얼굴

 




질병이 걸린 후 쫄을 (보통은) 큰 쫄에게 먹여주고 오면 괜찮은데, 쫄 폭발 이후 두개의 쫄을 합쳐야하는 질병자가 된다면 딜로스가 상당해 지긴 합니다.

 

징기는 해제가 되므로 자신이 작은  쫄 소환을 조정할 수 있어서 잘만 하면 5초 안에도 딜 복귀가 가능하더군요.

 

물론 큰 쫄이 작은 쫄을 먹는걸 확실할 때에 본진으로 돌아오셔서 딜링을 하시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7. 교수님

 

이건 뭐, 제가 뭘 어떻게 해야겠다 느끼기 전에 끝났습니다.

 

정공 다니는 친구랑 우스갯 소리로 전투기 조종사 키우듯이 골렘 조종사를 키워야 하냐고 푸념했네요.

 

막공에서 원활한 골렘조종이 가능해 지려면 트라이수가 많아져야 하는데, 저 '10트' 라는 제한이 참 무섭네요. 탱킹도 같이 하시는 분들은 되도록 이번 주에 경험하는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2010년 1월 6일 수요일

티어10 2셋 효과의 미스테리

 사실 저는 티어 10-2 셋을 장착한 이후 부터 변화된 딜사이클에 대해 글을 준비 중 이었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딜링에 관한 글은 어설프게 썼다가는 괜히 욕만 먹고 마는게 십상이라 굉장히 신경써서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요,

 

아무리 해도 이상한 점이 계속 느껴져서, 오늘 동영상 녹화를 한 후에 CF감독이 연기자 테스트 하듯 수 십번 돌려봤습니다.

 

 

그런데 그 결과가 좀 이상합니다.. ;  

 

 

미스테리

 

 

천폭 리셋 효과는 글로벌 쿨다운을 제거한다?

 

 

 




 



 

 

 

 

스샷 두 장입니다. 작아서 못보는 분들을 위해 상단의 단축키바만 다시 올려 보면

 

 


 


 

 

 

 

 

 

보시면 알겠지만 천폭이 리셋되면서 천폭의 글쿨이 제거가 되었습니다. 퇴마술, 심판, 성격의 글쿨은 줄지 않았지만, 구원의 손길, 기도, 천상의보호막의 글로벌쿨다운은 제거되었습니다.

 

글로벌쿨타임은 남아있는 스킬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지연시간이나 애드온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상황에서 천폭을 눌러서 바로 시전이 되었습니다.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요?

 

 

 

저는 일단 천폭리셋이 자신의 글로벌쿨다운을 제거한다 라고 이해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장면이 또 잡혔습니다.

 


 







 

 

단축키 스샷을 보시면 알겠지만, 나머지 스킬들의 글로벌 쿨다운은 전혀 줄어들지 않았고, 천폭 자신도 절반 정도 (대략 0.7초) 의 글로벌쿨다운만 제거했습니다.

 

 

 

 

점점 헷갈리네요? 그쵸?

 

 

 

 

해외 포럼을 뒤져 보아도 ,천폭 리셋과 글로벌 쿨다운에 관한 이야기는 단 한 줄도 없다는게 더욱 힘드네요.

 

 

뭐, 결론은

 

 

딜링 하실 때,  쿨이 돌건 말건~ 천폭은 계속 연타하세요!! 언제 글쿨이 제거된 천폭이 뜰 지 몰라요~

 

 

 

 

 


P.S : 혹시 티10-2셋 효과를 극대화 하려고 심판이나 성격에 천폭을 묶어서 매크로로 돌리시려고 찾으시는 분들이 계실지도 몰라 말씀드리면,

 

제가 찾아본 바로는 그런 매크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저도 /castsequence 로 어떻게 해보려고 별 짓을 다 해 봤고, 찾아보기도 찾아봤습니다만

 

/castrandom 매크로가 블리자드에서 제한한 후로는 만들 수가 없는 매크로래요.

2010년 1월 3일 일요일

징벌기사의 치명타 한계점 (Crit Cap / Critical Ca...


징벌기사의 치명타 한계점 (Crit Cap / Critical Cap) 정리

 

 

 

 

 

안녕하세요? 신선회장입니다.

 

왜 하루에 똑같은 주제로 두번 글을 쓰는지 궁금해 하실텐데, 아까 글은 급하게 쓴거라 정보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고 오히려 혼란만 가중시킨것 같은 느낌이 들어 다시한번 정리해 봅니다.

 

사실 아까 전 글이 그렇게 못써진 이유는, 제가 실험한 것도 , 발견한 것도 아니면서 괜히 아는척을 첨가하다 보니 그렇게 된 것 같습니다. 반성하고요...(--)(__)

 

 

일단 제가 배운 Fact 위주로, 최대한 쉽게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와우 물리 데미지 계산식상, White damage라 불르는 Melee 공격의 치명타율이 일정수준을 넘어서면 치명타로 발동이 되지 않고 평타로 발동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치명타 한계점을 넘어선 치명타는 의미가 없습니다.

 

 

치명타 한계점(Crit Cap) 은

 

Crit Cap = 100 - Glancing - Boss Crit to Hit Conversion - Dodge - Miss

의 공식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용어를 풀어보면, 

 

Glancing : 비껴맞음 - 레이드 보스 기준 24% 의 고유확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Dodge : 피함 - 만숙련으로 0으로 만드는것이 가능합니다.

 

Miss : 빛맞힘 - 만적중으로 0으로 만드는것이 가능합니다.

 

Boss Crit to Hit Conversion : 보스몹에게는 크리가 터져도 평타로 발동이 되는 고유의 4.8%의 확률이 있습니다.

                                                 이 계산법은 레이드 보스들이 가지고 있는 3%의 고유한 크리티컬 저항과  +1 레벨당 0.6% 의 저항을 합쳐서 4.8%라고 알려졌습니다.   

 

 


 

(적중이 0인 분무전사로 실험한 스크린샷. Hit 가 4.9%로 Boss Crit to Hit Conversion 4.8%에 근접한것이 보인다)

 

 

 

 

Crit Cap = 100 - Glancing - Boss Crit to Hit Conversion - Dodge - Miss

 

를 징벌기사 기준으로 적어보면

 

Crit Cap = 100% - 24% - 4.8% - 0% - 0% = 71.2%

 

 

 

즉, 만적중과 만숙련을 맞추는 징벌기사의 치명타 한계점은 71.2% 가 되겠습니다.

 

 

그럼 이 Crit Cap,즉 치명타 한계점은 누가, 왜 측정을 하느냐?

 

지금까지는 주로 쌍수무기를 사용해서 만적중은 못맞추는 도적과 분무전사가 매우 관심을 가져야할 부분 이었습니다.

 

공식에서도 보이듯이, 낮은 적중 때문에 치명타 적중도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까요.

 

 

 

아래는 쌍수적중일 경우에 Crit Cap을 구하는 공식입니다.

 

Crit Cap = 100 - 24 - 4.8 - ([214 - X] * 0.000305) - ([722 - Y] * 0.000305)

 

214는 만숙련을 의미하고, 722는 쌍수 만적중 수치를 의미합니다. 

 

 

 

이를 징벌기사의 만적중은 263 (262.32) 이므로, 징벌기사로 고쳐보면

 

Crit Cap = 100 - 24 - 4.8 - ([214 - X] * 0.000305) - ([263 - Y] * 0.000305)

 

입니다.  


 

 

 

 

공식은 어느정도 풀이를 해 보았고, 제가 진짜 이 문제를 들고 나온 숙제인...

 

 

그렇다면 징벌기사가 가지고 있는 71.2%의 Crit Cap은 달성이 가능할까요?

 

 

일단 아래 사진은 RAWR에서 나온 저의 풀버프시 크리티컬 확률입니다.

 

RAWR에는 4.8%의 Boss Crti to Hit Converion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52.44% + 4.8% = 57.24% 의 치명타 확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지금 크리캡 71.2%  - 57.24% = 13.96 % 의 확률만큼 모자라네요.

 

 



 

 

 


 

흠....아직 애매하군요.

 

 

그렇다면 흥미로운 다음 스샷을 보시죠.

 

 



 

 

한참 전 저에게 이 글을 쓰게 만든 모티브를 준, 인벤가족 바스카빌님의 스샷입니다.  (스샷 무단도용은 이해해 주실거라...믿어요 ;)

 

245렙템이 꽤 보이는데, 노버프 50.10%의 치명타율을 달성하셨네요.

 

(* 제 세팅에서 풀버프와 노버프시에 치명타 차이는 14.11% 입니다. %로 올라가는 왕축같은 버프 때문에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비교적 정확한 값이라 생각되니 한번 더해보겠습니다.)

 

50.10% + 14.11% = 64.21%

 

71.2% - 64.21% = 6.99%

 

 

Crit Cap 까지 6.99% 입니다.

 

앞으로 264렙제 템이 풀리고, 더 나아가 277렙제의 템들을 끼기 시작한다면, 6.99% 올리기 어려울까요?

 

아마 아닐겁니다.

 

 

 

일단 결론은 나왔네요. 

 

징벌기사에게도 Crit Cap 71.2%는 다가올 현실입니다.


 

 

 

 

사실...먼 훗날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지금도 Crit Cap을 느낄 수 있는 레이드 보스가 있습니다.

 

 
 

(포자를 받으면 치명타율 50% 증가!)

 

 

잊지 않으셨죠?  낙스라마스의 로데브입니다.

 

이런 식으로, 앞으로 열릴 얼음왕관에서도 치명타 상승 버프를 주는 보스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요즘 대세를 이루는 치명 40~45%의 징벌기사로써는 풀버프시 치명타가 50~55%에 육박하므로 20%의 치명타 상승 버프만 받더라도 Crit Cap에 걸리게 됩니다.


 

 

 

그렇다면 대세인 치명세팅을 포기해야 하냐구요?

 

글쎄요.. 그건 일단 리치왕을 잡아봐야 알겠죠? ㅎ

2010년 1월 2일 토요일

Critical cap 에 대하여 아시나요?

일반적으로 알려져온 상식은, 우리가 보스를 때렸을 때에 아래 6가지

항목이 주사위를 굴려 발동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1. 빗맞힘(miss) : 앞이든 뒤든 자신의 공격이 적중되지 않고 빗나감 (전혀 피해를 입히지 못함). 동렙기준 양손 5%, 쌍수 24%, 자신의 적중 %만큼 줄어듬.
2. 회피 : 앞이든 뒤든 자신의 공격을 모두 회피함 (전혀 피해를 입히지 못함)
3. 무기막기 : 앞에서 하는 공격의 경우 몹이 무기막기를 할 수 있음. 이 때는 전혀 피해를 입히지 못하며, 몹의 공속이 2배만큼 상승.
4. 방어함(block) : 앞에서 하는 공격의 경우 몹이 block을 할 수 있으며, 이 때 몹의 bolck 수치만큼 입히는 피해가 감소됌.
5. 비껴맞음 or 빗맞음(glancing blow) : miss와는 다른 개념. +3렙 월드보스의 경우 고정적으로 25%의 수치를 가지며, 이 때 몹은 평타기준 약 70%의 뎀쥐만 입게 됌.
6. 평타&치명타


(*와우 플레이포럼 레이드게시판 '사랑매듭' 님의 글을 첨삭하였습니다.
원문 클릭)



그런데 이 외의 수치가 존재한다는게 해외 유저들의 실험결과에 의해 밝혀졌는데요,


'Crit cap' 혹은 'Critical cap' 이라 불리는 이 수치로 인해 물리 치명타의 4.8%가 월드보스에게 무시(?) 당합니다.


캐스터는 3%라고 하는데, 그쪽은 잘 모르니....



공식과 매크로 입니다. (드레나이 오라를 반영하려면 722에서 32.79를 빼고 쓰라네요)





공식

Crit Cap = 100 - Glancing - Boss Crit to Hit Conversion - Dodge - Miss

in other words...

Crit Cap = 100 - 24 - 4.8 - ([214 - X] * 0.000305) - ([722 - Y] * 0.000305)

Where X = your current expertise rating and Y = your current hit rating. This is unless you are Combat. If you are Combat and you have the weapon expertise talent the 214 figure should be changed to 132. Also if you are Alliance and you have Heroic Presence (Draenei racial aura) active, then be sure to add 32.79 to whatever hit rating you have.



매크로 (작동하는지는 확인 못했습니다 ;)

슬래쉬 script DEFAULT_CHAT_FRAME:AddMessage ("Your crit cap for white attacks is "..(0.712-(214-GetCombatRating(24))*0.000305-(722-GetCombatRating(6))*0.000305)*100)


그럼, 제가 애용하는 RAWR에서는 어떻게 적용이 되어있을까 살펴봤습니다.

Q: Why is my Crit value so low, compared to the in-game character panel?

  • A: Boss level relative to your own affects your actual chance to deal a critical strike. Targets that are three levels higher than your own (83, or Boss level) exhibit a 4.8 crit depression / conversion, which affects both white and yellow damage. Rawr calculates and displays your actual chance to crit, while the in-game character panel reflects your stats against a same-level target.


FAQ에서 쉽게 찾을 수 있더군요. 4.8% 의 crit depression/conversion 이 존재하고,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C키를 눌러 케릭터 창을 열였을 때 보는 수치와 RAWR에서 보는 수치가 4.8% 만큼 차이가 난다고 하네요.


이제 RAWR에서 치명타 수치가 다른 이유가 프로그램 오류가 아니라는 걸 알겠네요.

갑자기 이 제작자들이 와우에 대해 대체 어디까지 알고 있는지가 궁금하군요..;




이 안건에 더 읽어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 글 몇개 링크합니다.

http://www.mmo-champion.com/class-rogue/critical-strike-cap-faq/

http://www.stratfu.com/blog/kyth/2009/12/new-data-melee-crit-cap

2010년 1월 1일 금요일

지난 주에 목표로 했던 사울팽에서 10,000을 찍었습니다.

 


 


 



 

 

지난 주에 목표로 했던 사울팽에서 10,000을 찍었습니다.

 

10,000을 찍은 랭커들에 비해 245렙 장비가 많았지만, 10티어 2셋, 9티어 2셋의 세트효과 덕에 무난히 달성할 수 있었는데요, 마냥 기쁘진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쫄에게 7대나 후드려 맞았거든요..,

 

 

사실 이번주 목표는, '쫄에게 맞지 않고 디피 10,000 넘기기' 였습니다.

 

 

 

제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기억하겠지만, 저는 지금까지 응징의 격노시에 천폭과 신성화가 피의 괴물에게 원래 데미지가 전부 들어가는 '버그'가 있었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 보니...

 



 

이 특성을 생각을 못했었네요. 천폭이 2500씩 들어갈때 '왜 5000이 아니고 2500일까?' 라고 생각했던 의문이 풀리네요.


응징의 격노 시에는 50%에 해당하는 피해가 피해 감소 효과를 무시합니다.

 

 

제가 피의 괴물에게 얻어맞았던 상황을 정리해 보면,

 

- 응징의 격노 활성화중..

 

- 피의 괴물 소환

 

- 어격으로 스턴

 

- 천폭 (아직 안봄)

 

- 천폭 리셋 (한번 더 넣어볼까 하는 딜딸욕심)

 

- 천폭

 

- 쫄 두마리가 나에게로.....(-,.-)

 

 

10-2셋 후에는 응징의 격노 타이밍을 (지금까지보다 더) 잘 조절해야 할 것 같습니다.

 

 

 

 

10-2 셋 이야기가 나온김에 이야기좀 해보자면, 천폭 리셋이 보기가 좀 힘들더라구요. 일정 주기가 있는것도 아니고 완전 천방지축이라.....-_-

 

그래서 전 단축키 애드온인 bartender4 에서 단축키창을 하나 생성해서 전투중에만 보이게 해놓고 케릭 바로 옆으로 붙였습니다.

 




 

 

 

저는 이렇게 단축키창으로 보는게 제일 편하긴 한데, 그게 아니신 분들은 마르스님이 한글화 해주신 아래 애드온을 써보시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사용해 보진 않아서 작동이 될 지 모르겠군요.)

 

*애드온 이름 클릭하시면 섬게이트 자료실로 넘어갑니다.

 

 

 


 



 

 

팔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