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MO에서 세계랭커가 되어보자 (2편 -2: 아이템 파밍과 RAWR 이용방법)
- WMO 사용방법
- 아이템 파밍과 RAWR 이용방법 (1편 / 2편)
- 적절한 화면구성과 효과적인 애드온
- 상위 랭커들과의 WMO 로그 비교
벌써 세번째 시간입니다. 전혀 반응이 없음에도(t.t) 꾸준히 상단글에 올려주시는 관리자 whitewnd님에게 감사함을 전하며...세번째 썰을 풀어보겠습니다.
지난 시간 까지 따라오신 분들은 이제 JAVA와 .net Framework 3.5, RAWR 최신버전 한글판이 설치가 되셨을겁니다.
오늘은 RAWR을 본격적으로 써보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RAWR을 실행시키고, FILE-> Load From Amory를 선택하여 전정실로부터 자기 자신의 세팅을 불러옵니다. 전정실상으로 입고있는 장비, 문양, 특성 등등이 로드가 됩니다.
아래 사진처럼, 착용하고 있는 아이템은 녹색 다이아몬드 표시가 된 것으로 나옵니다.
자 여기서, 지금 가지고 계신 아이템들을 사정없이 다이아몬드 체크를 해줍니다.
오른쪽 탭을 설명한 김에 보자면, Comparisons 칸에는 '정말정말정말' 대단한 정보들이 숨어있습니다.
아이템, 보석 뿐만 아니라 버프와 음식, 문양, 특성까지도 디피에스의 몇 정도를 상승시켜 주는지를 수치화되서 나오게 됩니다.
정말....아름답지 않습니까? (저걸 혼자 계산할려고 했던 고생들을 생각하면... 눈물이 발칵 나는군요)
* 빨간색 바 안의 숫자가 DPS 를 의미합니다.
(이 기능 덕에 용고기 대신 생선요리를 먹게 되었고, 퇴마술 문양 대신 신성화 문양으로 바꿀 수 있었습죠...)
아이템 체크가 끝났다면, 그 다음엔 전문기술을 체크해 줍니다. 각 전문기술을 설정하는 법은 아래에 사진으로 링크해 드립니다.
'...요즘 누구나 딜링용 전문기술 한,두개씩은 가지고 계시잖아요~ 아니! 표정들이 왜그러세요~!?
꼭, 약초 채광 만땅이신 분들처럼 말예요~ '
*킹왕짱* <보석세공>
Tools -> Edit Gemming Templates... 선택 후 아래와 같이 설정해 줍니다.
숙련이나 방관, 가속보석도 넣을 순 있지만, 존재하는 딜링보석을 다 넣고 Optimize를 수백번 해본 결과, 숙+체 보석만 1/100 확률로 나오게 되므로 그럴 필요까지는 못느낍니다. (힘, 적중, 치타의 비중이 다른 스탯에 비해 압도적이라 그렇다고 생각해 봅니다)
*킹왕짱* <대장기술>
추가 소켓을 박을 수 있는 손목, 장갑 하단의 BS socket을 체크해주면 보석이 하나씩 더 박힙니다.
<재봉술>
망토 마부가 있습니다. 다른 마부와 차원을 달리하는 저 차이란....
<마법 부여>
반지 두개를 모두 체크하여 줍니다.
<가죽 세공>
손목에 안감을 체크하여 줍니다.
<기계공학>
제 전문기술이군요. 특이하게도 세군데 입니다. < 망토, 장갑, 신발 >의 마법부여를 고유 마법부여로 체크해 줍니다. (아아..이 계륵같은 기공녀석 같으니...경매장만 아니었어도 진작 바꿨을텐데 ㅜㅡ )
<연금술>
연금은 특이하게 Buffs 란에서 체크를 해줍니다. 영약 밑에 Mixology 영약을 체크하여 주면 영약보너스까지 반영됩니다.
전문기술 입력이 끝나셨자면, 특성과 문양이 알맞게 선택되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저장한 파일을 로드하거나 RAWR버전업된 경우에, 간혹 바뀌는 경우가 있으므로 Optimize 하기 전에 항상 체크하여 줍니다. *이건 알려진 버그입니다.)
* 딜 문양 번역
- Glyph of Seal of Vengeance - 복수(타락)의 문장의 문양
- Glyph of Judgement,True - 심판의 문양
- Glyph of Consecration - 신성화의 문양
- Glyph of Exorcism,True - 퇴마술의 문양
- Glyph of Sense Undead - 언데드 감지의 문양 (보조)
- Glyph of Avenging Wrath - 천벌의 망치의 문양
- Glyph of Crusader Strike - 성전사의 일격의 문양
- Glyph of Seal of Righteousness - 정의의 문장의 문양
그 다음 탭, Option에선 사용할 문장을 선택해야 합니다.
복수(타락) 으로 하는걸 추천드리지만, 지휘로 딜을 하는 구간이 길어서 그 구간의 높은 디피에스를 보고 싶으시다면 지휘로 바꾸시고 전투시간을 짧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ex: 아눕 쫄구간만의 DPS를 생각한다면 쫄의 수와 문장을 지휘로 바꾸고 실제 게임중 /SW 로 전투시간을 측정하여 입력해 본다.)
보스전의 타입도 선택할수 있습니다. 쫄의 수, 신성화로 데미지를 입힐수 있는 퍼센트, 천벌의 망치 시간 등등, 보스의 타입 등등을 굉장히 자세하게 선택 가능하지만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몹의 타겟을 1로 하고 단일딜에 맞추어 줍니다.
대부분의 보스전이 쫄을 때리는 시간보다 보스를 때리는 시간이 길기 때문입니다.
저도 구간별로 여러 설정을 해봤지만, 아이템 세팅상으로 크게 달라지는건 없어서 자주 건드리진 않습니다. 쫄이 많아지면 신성화나 천폭의 데미지 기대값이 높아진다던가 하는 당연한 사실들만 알 수 있을 뿐이죠.
OPTION의 두번째 텝인 Rotation에서는 딜사이클을 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FCFS... 와 Effective... 두가지로 나뉘는데, 예전에도 언급한 적이 있지만 FCFS는 스킬의 우선순위를 정해놓고 딜하는 방법, Effective cooldowns는 각 스킬의 쿨타임을 입력하여 딜사이클을 만들어 가장 데미지를 많이 넣는 사이클로 딜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굉~장히 많은 논란거리가 있겠지만, 일단 저는 울두아르때는 사이클을 만들어 그대로 딜하는걸 선호하였고, 낙스라마스와 십자군의 사령관에서는 우선순위 딜을 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심판의 데미지에서 찾을 수 있겠네요.
심판의 데미지가 압도적인 때는 (다른 기술보다) 총 전투에서 심판을 몇 대 넣느냐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고, 다른 스킬의 데미지와 비슷할 때는 사이클을 만들어 공백시간 없이 최대한 많은 스킬을 집어넣는게 더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RAWR에서는 어느게 더 정확하다고 보느냐?
'...
FCFS Simulator - You enter in a priority scheme, and it simulates a fight following that scheme. This can more accurately the benefits of effects that change your rotation like 4T7 or Glyph of Consecration. Effective Cooldowns - You enter the effective cooldown of all of your abilities. This doesn't compute the value of effects like 4T7 at all, but it gives you more fine tuned control.
.....'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RAWR에서는 딜사이클대로(두번째) 계산하는게 더 좋다고 합니다. (티어7-4셋 효과<심판대기시간 -1초> 같은 효과는 계산에 안들어가지만, 요즘은 전혀 영향이 없죠)
하지만
'Effective...'로 계산 해봤자 전체 딜사이클을 알려주진 않습니다!
만약 이게 컴퓨터가 계산한 대로 print out이 된다면 10분짜리 딜사이클이라도 전부 외울 용의도 있습니다만...-_-;
새삼 수학에서 계산 과정을 안적으면 빵점을 주던 교수님이 떠오르는군요.
그래서 저는 FCFS 를 선택해서, '+' 와 '-' 버튼을 이용해서 DPS가 높은대로 설정해 주고, 그렇게 딜하고 있습니다.
심판 -> (천망) -> 성격 -> 천폭 -> 신성화 -> 퇴마
이네요. 광역딜링이 필요할때는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3중첩 이상의) 심판 -> 천폭 -> 신성화 -> 성격
으로 갑니다.
이제 OPTIMIZE 를 해봅시다! (헉헉..오늘은 유난히 길군요.)
1. 아이템 세팅 최적화시, 풀버프를 유지하되, 호드라면 드레나이 적중1% 체크 해제해 줍니다.
* 저와 같은 얼라이언스라면, 적중오라가 있을때와 없을때, 두가지로 최적화값을 찾아놓는게 좋습니다.
그 이유는 파티구성상 드레나이팟에 못들어갈 때도 있으며, 혹시 들어갔다 하더라도 드레나이가 잘 죽는 사람이라면 8%의 적중세팅으로 전투를 치르는게 훨씬 낫습니다.
2. 상단에서 TOOLS -> Optimize를 선택
빨간색 박스의 thoroughness 의 바를 움직여 최대로 맞추어 줍니다. 아이템 최적화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더 많은 변수를 체크하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파란색 박스는 전부 해제해 주시는게 웬만하면 좋습니다. 보석이나 마부를 다시하고 음식 영약 등등...을 다시 계산한다고 하지만, 별로 필요가 없습니다.
보라색 'Optimize' 버튼을 눌러주시면 마침내 최적화를 시작합니다!
최적화가 완료된 상황입니다.
꼭 알고 계셔야 할 것은, 최적화를 적어도 세번은 돌리시기 바랍니다. 최적화후에 더 낮은 DPS기대값이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 최적화 후에는 각 전문기술 세팅을 다시한번 확인해 봅니다. 특히 마법부여 형태로 부여되는 기공은 설정이 해제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최적화는 적어도 세번은 돌립시다. 그렇지 않으면 엄청난 보석값을 댓가로 지불하셔야 할지도 모릅니다..)
이제 세팅 최적화까지 하는법을 아셨습니다. 그렇다면, 아이템 파밍 계획은 어떻게 세울까요?
어느 아이템이 DPS에 어느정도 향상을 시켜줄지, 그걸 알아봅시다.
아까 수많은 정보를 보여준다고 말씀드렸던, 우측의 Comparisons에서 Direct Upgrade를 선택하여 줍니다.
지금 제 세팅에서 가장 높은 DPS 변화를 줄 아이템이네요.
템을 쭉 훓어 보면서 '현실적으로' 먹을 수 있는 아이템도 걸러내고..(아눕 25하드 공물함템은 저에겐 너무 먼 현실이네요)
찬찬히 봐줍니다...
그렇다면, 여기에 나와있는대로 먹으면 된다 그거냐? 하면 그건 또 아닙니다.
예를 들어보죠. 아래 그림은 제 지금 세팅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아이템들입니다. 명품으로 알려진 '비참한...' 가죽 가슴과, 무려 아눕 25하드 공물함템인 '대참사(숙련)' 가 눈에 띄네요.
( 대참사를 먹었는데 DPS가 10.18 오른다면...? 과연 대참사는 쓰레기일까?)
실제로 돌려보죠. 대참사를 체크해 주고 최적화를 눌러봅니다.
최적화 값입니다. 무기가 로서에서 대참사로 바뀐건 당연하고, 258렙짜리 숙련손목을 245렙짜리 가죽세공 손목으로 교체를 했네요.
대참사가 숙련이 붙은 무기이기 때문에 숙련템을 교체하는걸로 결론을 냈군요.
실질적 DPS상승폭도 10.18 이 아니라 130 으로 계산되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Direct Upgrade에서 보는 DPS 상승폭은 현재 장비에서 그걸로 교체했을 때 나오는 기대값이지, 그 교체 후에, 최적화한 기대값이 아니라는 겁니다.
오버숙련, 오버적중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죠.
그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일단 제가 가지고 있는 RAWR 저장파일명을 보여드리는게 빠를것 같네요. 징벌 25일반, 징벌 25하드, 등등...세분화를 시켜놨습니다.
개인적으로 25아눕 하드템은 아직 기약이 없기에, 징벌25하드(노아눕) 파일을 열어봅니다.
그림으로 보니 간단하죠?
하나하나의 아이템별로 최적화 하기엔 시간이 너무 걸리니, 그럼 모든 아이템을 가지고 있을 때에 최적화값을 만들어놓고, 그걸 먹으면 되는겁니다.
저처럼 아눕하드는 잡을 일이 없을것 같다 면(혹은 잡더라도 아이템을 먹을 일이...ㅜㅜ) 아눕하드템을 빼고 모든 아이템을 넣고 최적화를 시키면 됩니다.
여기서 유의하실 점은,
- 얼라이언스와 호드의 아이템명만 다른 같은 템 (반지, 장신구)이 들어가진 않았는지
- 얼라이언스라면 적중 버프가 있을때와 없을때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두가지만 주의해 주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제가 아이템 파밍을 하는 법과 RAWR을 활용하는 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시리즈 구성 상 2/4 에 해당하는 '아이템 파밍과 RAWR 이용방법 (1편 / 2편)' 이 마무리 되었는데요,
이 RAWR 사용이라는게 처음에는 아무래도 녹록치 못한거라 그림으로 최대한 알기 쉽게 설명을 했습니다만, 혹시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가 설명이 많이 필요할 경우에 RAWR- Q&A로 증편생각도 있습니다.
만약 이번 편도 별 반응이 없다면.....
'적절한 화면구성과 효과적인 애드온'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
다 읽으셨으면 아이콘 사게 추천좀 ㅜㅡ (추천 받으면 이니 들어오는거 맞죠??)
댓글 없음:
댓글 쓰기